전체 글 78

Git Flow 란?

Git Flow Git Flow 란? Git-flow에는 5가지 종류의 브랜치가 존재합니다. master : 항상 서비스 가능한 소스코드 가진 브랜치 develop : 개발에 주축이되는 브랜치 feature/ :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 release/ : 이번 출시 버전을 준비하는 브랜치 hotfix/ : 출시 버전(master)에서 발생한 버그를 수정하는 브랜치 Git Flow Commands # 깃플로우 생성 $> git flow init # 원격 저장소에 모든 브랜치를 전송하였다. $> git push origin --all # feature branch를 생성 $> git flow feature start # 현재 feature branch 목록들을 살펴볼 수가 있다. $> git flow fea..

SERVER/Git 2021.09.28

[Github] personal access Token, 소스트리와 연동

깃허브 토큰사용하라는 오류가 발생하면 아래 작업을 진행해주시면 작동합니다. 1. 깃 허브 우측상단 -> Settings -> Developer settings -> personal access tokens -> generate new token에 노트와 유효기한, 범위 항목을 체크하여 토큰을 발행합니다. 2. 소스트리 원격 저장소 계정 추가(이 항목은 안해도 상관없습니다.) 3. 소스트리 -> 설정 -> 원격 -> 경로 https://{깃허브닉네임}:{개인접근토큰}@

SERVER/Git 2021.09.28

# 4 - Git 실무 - with VSCode

4 - Git 실무 - with VSCode Git Branch 1. Master 브랜치는 항상 Deploy할 수 있는 상태로 두자! 2. 작업할 때는 항상 Topic 브랜치를 만들어서 하자! 3. 브랜치 이름은 누가봐도 알 수 있도록 자세히 짓자! 4. 정기적으로 자주 push하자! 5. Merge가 끝나면 해당 Topic 브랜치는 바로 삭제하자 (remote branch의 경우 push하고 삭제)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명령어 # 브랜치 확인 $> git branch [-a | -r] # 브랜치 생성 $> git branch [] # 브랜치로 이동 $> git checkout # 브랜치 생성과 체크아웃(이동)을 한번에 한다. $> git checkout -b # master로 브랜치 이동 ( "-" 이 ..

SERVER/Git 2021.09.24

# 3 - Git Branch / merge

3 - Git Branch / merge 깃 브랜치는 무엇인가? 모든 버전 관리 시스템은 브랜치를 지원한다. 개발을 하다 보면 코드를 여러 개로 복사해야 하는 일이 자주 생긴다. 코드를 통째로 복사하고 나서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데, 이렇게 독립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브랜치다. 즉, 나무의 몸통은 master이고 나무 가지를 브랜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주의할 점은 브랜치를 생성 및 변경 전에 commit 하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. 현재 위치에서 커밋을 하고 브랜치를 이동하거나 생성해야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. 브랜치(Branch) 명령어 브랜치 생성 $ git branch # branch 만들기 $ git branch # branch 전체 보기 브랜치 이동 $ gi..

SERVER/Git 2021.09.21

[Git] Reset & Revert / conflict & merge

reset & revert & Source History 명령어 git reset: 커밋 취소하기 git reset --[hard...] 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위치인 HEAD의 포인터를 revision번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변경해버릴 수 있습니다. reset 한 위치로 변경하고, 위치 이후의 history는 모두 없애버립니다. (주의) hard는 시계(모든 것)를 되돌립니다. - git reset --[hard | soft | mixed] git revert: 커밋 내용 되돌리기 git revert는 현재 작업 위치인 HEAD의 포인터를 revision번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변경해줍니다. reset과 차이는 위치 변경 후에 history에 지우지 않고 소스 그대로 history에 새로운 Log가 생깁니..

SERVER/Git 2021.09.20

#1 - Git 시작하기

Git 시작하기 Git 환경 설정 바탕화면 git bash 실행 git config --list git config user.name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git config user.email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git config 한눈에 보기 cat ~/.gitconfig --global 이 들어가면 컴퓨터 전역에 설정한다. 반복 수행할 필요가 없어진다. 로컬 저장소 만들기 cd "work-dir" git init .gitignore 파일 작성 git add --all // git add 또는 git add . git commit -m "first commit message" git remote add origin git push -..

SERVER/Git 2021.09.19

[Git] .gitignore 파일

.gitignore 파일 .gitignore 파일은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git이 관리하지 않을 파일들을 지정해두는 파일이다.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로그파일이나 외부 패키지, 깃에 공유되어서는 안되는 api키와 같은 내용이 작성된 .env 와 같은 파일들이 있을 것이다. .gitignore 에 원격 저장소에 commit 하고 싶지 않은 내용을 작성해두면 git에서 그 내용을 읽어 해당하는 디렉토리 또는 경로 패턴에 위치한 파일들을 버전관리에서 무시하도록 해준다. 이 때 .gitignore 는 항상 .git 폴더가 위치한 루트 디렉토리에 존재해야 한다. .gitignore 사용법 .git 폴더가 있는 위치에 생성해주면 되는데, 윈도우의 경우 그냥 메모장으로 작성하여 txt파일이 아니라 ..

SERVER/Git 2021.09.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