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RVER/Git 13

[Git] Reset & Revert / conflict & merge

reset & revert & Source History 명령어 git reset: 커밋 취소하기 git reset --[hard...] 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위치인 HEAD의 포인터를 revision번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변경해버릴 수 있습니다. reset 한 위치로 변경하고, 위치 이후의 history는 모두 없애버립니다. (주의) hard는 시계(모든 것)를 되돌립니다. - git reset --[hard | soft | mixed] git revert: 커밋 내용 되돌리기 git revert는 현재 작업 위치인 HEAD의 포인터를 revision번호에 해당하는 위치로 변경해줍니다. reset과 차이는 위치 변경 후에 history에 지우지 않고 소스 그대로 history에 새로운 Log가 생깁니..

SERVER/Git 2021.09.20

#1 - Git 시작하기

Git 시작하기 Git 환경 설정 바탕화면 git bash 실행 git config --list git config user.name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git config user.email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git config 한눈에 보기 cat ~/.gitconfig --global 이 들어가면 컴퓨터 전역에 설정한다. 반복 수행할 필요가 없어진다. 로컬 저장소 만들기 cd "work-dir" git init .gitignore 파일 작성 git add --all // git add 또는 git add . git commit -m "first commit message" git remote add origin git push -..

SERVER/Git 2021.09.19

[Git] .gitignore 파일

.gitignore 파일 .gitignore 파일은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git이 관리하지 않을 파일들을 지정해두는 파일이다.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로그파일이나 외부 패키지, 깃에 공유되어서는 안되는 api키와 같은 내용이 작성된 .env 와 같은 파일들이 있을 것이다. .gitignore 에 원격 저장소에 commit 하고 싶지 않은 내용을 작성해두면 git에서 그 내용을 읽어 해당하는 디렉토리 또는 경로 패턴에 위치한 파일들을 버전관리에서 무시하도록 해준다. 이 때 .gitignore 는 항상 .git 폴더가 위치한 루트 디렉토리에 존재해야 한다. .gitignore 사용법 .git 폴더가 있는 위치에 생성해주면 되는데, 윈도우의 경우 그냥 메모장으로 작성하여 txt파일이 아니라 ..

SERVER/Git 2021.09.19